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케이팝 여자 걸 그룹 정산 현실!

반응형

데뷔 두 달 만에 첫 정산을 받았다고 밝혀 화재가 되었던 뉴진스.

데뷔 7년차인데도 정산을 못 받았다하여 논란이 되었던 프로미스 나인..

출처 엑스포츠 뉴스

과거 걸그룹 여자친구 유주는 데뷔 이후 2년여 만에 첫 정산을 받았다고 밝혔었고, 모모랜드 연우는 데뷔 3년 만에 출연한 방송의 출연료가 자신의 첫 수입이라는 말로 정산 시점을 언급했습니다.  마마무 역시 '음오아예' 활동 이후 데뷔 약 8개월 만에 첫 정산을 받았다고 밝혔던 바 있습니다.

이렇게 여자 아이돌의 정산 시기는 다양합니다.

여자 아이돌 걸그룹의 정산 시기는 소속사와의 계약 조건, 데뷔 시점, 활동 방식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패턴을 따릅니다.


1. 정산 개시 시점 (대부분 계약금 회수 이후)

  • 대부분의 아이돌 그룹은 데뷔 후 일정 기간 동안 정산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이는 소속사가 연습생 시절 및 데뷔 후 발생한 비용(트레이닝, 뮤직비디오, 의상, 숙소, 홍보비 등)을 우선적으로 회수하기 때문입니다.
  • 일반적으로 데뷔 후 2~3년 차부터 수익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단, 빅히트, JYP 등 일부 대형 기획사는 연습생 비용을 회수하지 않는 경우도 있음.)

2. 정산 주기

  • 보통 3개월 또는 6개월 단위로 정산이 이뤄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 분기별(3개월), 반기별(6개월) 정산을 하는 기획사가 일반적이며, 일부는 연 1회(1년 단위) 정산을 하기도 합니다.

3. 정산 방식 (수익 배분 비율)

  • 수익 배분 구조는 그룹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인 분배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음원 & 음반 수익: 보통 소속사 70% / 아티스트 30% (혹은 50:50, 일부는 소속사가 더 가져가는 경우도 있음)
    • 광고 & 개인 활동 수익: 개인 광고나 개별 활동은 아티스트가 더 높은 비율을 가져가는 경우가 많음 (예: 50:50 또는 70:30)
    • 콘서트 & MD 수익: 소속사와 아티스트 간 계약에 따라 다르지만, MD(굿즈) 판매는 보통 소속사가 더 많은 비율을 가져감.
  • 그룹 활동일 경우, 위에서 나온 "아티스트 몫"을 멤버 수대로 나눠야 함.
    • 예: 정산 비율이 50:50이고 5인조 그룹이면, 아티스트 몫 50%를 다시 5등분하여 각 멤버에게 배분.

4. 소속사별 정산 방식 차이

  • 대형 기획사 (SM, JYP, YG, HYBE)
    • 연습생 비용을 회수하지 않는 경우가 많음.
    • 상대적으로 정산이 빠르게 이뤄지는 편.
    • 음반/음원 수익보다는 공연, MD, 광고 수익이 크기 때문에 정산이 상대적으로 원활.
  • 중소 기획사
    • 연습생 비용을 차감하는 경우가 많아 정산 시기가 늦어질 가능성이 있음.
    • 수익 배분율이 소속사가 더 높은 경우가 많음.
    • 히트곡이 없으면 정산이 거의 없거나 적을 가능성도 있음.

5. 정산 사례

  • 마마무 (RBW): 데뷔 3년 차부터 정산을 받았다고 공개.
  • AOA (FNC): 데뷔 후 5~6년 동안 정산을 못 받았다고 멤버들이 직접 언급.
  • 러블리즈 (울림): 일부 멤버들이 정산을 받지 못했다고 인터뷰에서 언급.
  • 블랙핑크 (YG): 개별 활동으로 광고·유튜브 수익을 벌어 상대적으로 빠르게 정산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음.

결론

✔️ 정산 개시는 보통 데뷔 후 2~3년 차부터 시작.
✔️ 대형 기획사는 빠른 정산 가능성↑, 중소 기획사는 정산이 늦거나 아예 못 받을 수도 있음.
✔️ 그룹 활동보다는 개인 활동(광고·유튜브·솔로 등)이 정산을 더 빠르게 받는 경우가 많음.

 

2024년 방송에서 활동중인 걸그룹이 대략 120팀 정도라고 합니다. 

신예 걸그룹 데뷔러쉬 속에서 경제적으로 성공한 걸그룹은 정말 십프로도 안될듯 싶네요..

데뷔를 준비하는 연습생까지 생각하면 정말 쉽지 않은 직업인것 같습니다. 

어린 소녀들의 꿈을 응원합니다. 

반응형